'라자다 태국'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6.03.15 (32)
안녕 하세요.
오늘은 동남아시아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라자다(Lazada)에 대해서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제가 무자본창업 글로벌셀러를 시작한지 약 6개월 정도가 되어 갑니다.
처음에 시작은 Qoo10(큐텐) 싱가폴 을 시작으로 하고, 이제 라자다(Lazada)로 조금씩 확장을 해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확장을 해나가는 이유에는, 점 점 동남아시아 전자상거래 시장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존이나 이베이등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한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이 있고 글로벌 셀러라면 분명히 입점을 해야 하는 마켓들 이지만, 그만큼 경쟁이 치열하기도 합니다.
때문에 저는 먼저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 최근 급 부상 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에 눈을 먼저 돌린것 이죠.
이렇게 이제 막 성장하는 플랫폼들은 당연히 경쟁이 다른 플랫폼보다 약하기 때문에 이미 성장한 아마존 이베이등 보다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든 플랫폼들은 대부분 초기에 시작하여 자리를 먼저 선점하는 업체들이 이 후 해당 플랫폼이 커졌을때 높은 효과를 가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카카오스토리(스토리채널), 페이스북등도 초기에 진입한 업체(사업목적)들은 큰 비용없이 몇만의 회원수를 쉽게 모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떨까요??
같은 회원수를 모으기 위해서 억대의 광고를 하기도 하며, 초기에 비해 매우 높은 비용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 만큼 어떤 플랫폼이던 초기 진입자들은 좀 더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것이죠.
그러면 라자다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 볼까요?
■ 라자다란?
동남아시아 전자상거래 플랫폼 (옥션, 지마켓과 같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사이트)
■ 현재 라자다 플랫폼의 주요 타겟 나라는?
(말레이시아, 인도, 태국, 싱가폴)
■ 라자다의 가입 비용은 ?
가입비용은 없으나, 사업자가 있어야 가입이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라자다의 모티브가 된 오픈마켓은 어디일까???
Amazone (아마존)과 라자다는 거의 흡사한 페이를 가지고 있고, 상품 등록등 대부분 비슷한 폼을 사용합니다.
즉 아마존에 이미 활동하는 셀러는 라자다로 확장하기 매우 좋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라자다는 아마존과 거의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마존의 상품 페이지를 참조하여 라자다의 상품을 등록하면 유용합니다.
특히 이러한 폼의 마켓의 가장 특징은 상세 섬네일을 보면 흰 바탕에 제품이미지만 딱 있습니다.
특정 제품 외에는 흰 바탕에 선명한 제품이미지로 한 크기 500px x 500px 이상의 섬네일만 사용이 가능 합니다.
즉 큐텐 등에서 화려한 이미지의 섬네일을 사용했다면, 라자다에서 사용이 불가능 하다는 것이죠.
■ 라자다의 수수료
라자다는 카테고리별로 상이한 수수료를 적용 합니다.
■ 라자다의 입금 방식은??
라자다는 기본적으로 페이오니아를 통해 달러로 입금이 됩니다.
페이오니아로 입금이 된 금액을 다시 저희가 송출하면 페이오니아에 등록한 국내(한국) 통장으로 "KRW 원"으로 입금이 되는 방식입니다.
여기에서 페이오니아 수수료가 발생 합니다.
하지만 송금통화를 KRW(원) 으로 선택하는 경우 환전 수수료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 라자다의 마진율 계산시 유의사항은???
라자다는 소비자의 카드결제 수수료 2%를 판매자가 부담 합니다.
때문에 각 카테고리 수수료 (예 : Sport & Outdoors) 10% + 카드결제 수수료 2% 를 포함하여 수수료를 잡으시면 됩니다.
즉 기본 카테고리 수수료에서 무조건 +2%를 수수료를 합산해서 계산하면 됩니다.
여기에 페이오니아에서 달라로 송금하는 경우 해당 수수료도 포함시키면 됩니다.
※ 참고로 아래의 관세 기준금액이 넘는 경우 관세도 수수료에 포함시켜 마진을 계산하면 됩니다.
■ 각 나라별 관세 기준 금액은 어떻게 될까?
관세는 기본적으로 상품가격에서 정해진 %를 판매자가 부담 하게 됩니다.
말레이시아 : 500 MYR, 6%
인도네시아 : 40 USD, 10%
태국 : 1000바트, 7%
싱가포르 : 400SGD (싱가포르의 경우 관세는 구매자 부담이라 라자다에서는 관세가 없다고 계산합니다.)
■ 판매시 주의사항은 멀까??
1. 라자다는 주문이 들어오면, 48시간 이내에 출고를 하는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꼭 배송을 하는것을 말하는것이 아닙니다. 상품을 확인하고 트래킹 넘버를 입력하여 "Ready to ship" 배송준비 상태로 만드는것을 의미 합니다.
트래킹 넘버는 주문 정보만 있으면, 사용하는 택배사(이카고, SRE등) 통해 바로 트래킹 넘버를 받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주문이 들어오면 먼저 배송준비 상태로 만들어 놓고 이 후에 상품 준비가 완료가 되면 발송을 하면 됩니다.
실제 발송기간은 48시간이 지나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해외 판매자의 경우 배송기간을 최소 21 최대 25로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2. 주문취소 건이 2%를 초과하는 경우 지난 한 주간 하루 평균 판매량의 50%로 1일 판매량을 1주간 제한 합니다.
■ 라자다도 광고를 해야 판매가 되나??
국내 오픈마켓(옥션,지마켓)등은 광고를 하지 않으면 판매가 거의 어려운 시스템 입니다.
하지만 라자다는 셀러의 직접적인 광고는 아직 없습니다. 대부분 프로모션을 통한 광고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국내의 마켓을 생각하면 오픈마켓 보다 종합쇼핑몰(CJ오쇼핑, 현대몰 등)에 가깝다고 보시면 됩니다.
■ 라자다의 고객 불편사항은 어떻게???
라자다는 우리가 흔히 알 고 있는 오픈마켓들과는 다르게 "셀러"와 "고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은 불가능 합니다.
클레임 발생시 고객은 무조건 해당 국가의 라자다 서비스 센터로 연락을 하고, 서비스센터에서 다시 판매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입니다.
↓ 아래는 실제 배송이 지연되어(배송사 실수) 고객이 주문 취소를 한 경우 라자다에서 통보한 이메일.
■ 그러면.. 고객센터에 문의도 영어로??? 해야 하나??
다행히도 라자다는 한국에 지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한글로 문의를 해도, 한글로 답변을 해줍니다.
즉 라자다의 모든 시스템은 대부분 이메일로 소통이 되기 때문에 이메일 확인이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현재 동남아시아에서 성장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라자다(Lazada) 마켓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앞으로 라자다의 다양한 정보와 저의 라자다 진행사항도 계속 포스팅 할 예정이니, 지켜봐 주세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ZADA(라자다)마켓 상품 일괄 등록 하는 방법 (9) | 2016.04.20 |
---|---|
전망높은 글로벌 마켓 라자다(Lazada) 알아보자!! (32) | 2016.03.15 |
-
-
-
-
-
-
-
-
-
-
-
-
-
-
-
나니나 M/D Reply
한국 에서. 라자다 에. 물건도 못사는데. 무슨 개소리 들이냐
동남아. 우물속시장 이다. 촌놈들 아
아마존 이나 이베이 알리익스프. 도 다한국에 물건 오는데
라자다 는. 남쪽. 아시아밖에. 물건. 안판다. 알고서 떠들어라 -
궁금합니다!! M/D Reply
안녕하세요!! 멋진 글 감사합니다!!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서요~
싱가폴 라자다에서 물건을 판매하려면 현지에 비지니스 등록이 되어 있거나, 그게 아닌경우 중국에 물류 창고를 갖고 있어야 한다는 규정을 보았는데요, 사실인가요? 중국에 물류 창고..를 갖기는 어려울 것 같아서요 ㅠㅠ 개인의 경우 비지니스 등록을 해야하는 건가요?
그리고 큐텐 같은 경우는 웹사이트에서 등록하는 것 이외에 별도로 물류 창고를 특정 지역에 갖고 있어야 한다는 등의 규정은 없는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아 ㅠㅠ
좋은 글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